왼쪽 상단에 있는 메뉴버튼 아래로 많은 실행 프로그램들이 있는데,
"터미널"을 실행합니다
현재 계정명이 CentOS에 로그인한 계정명@localhost로 되어 있는데, su를 치고 root@localhost 계정으로 변경해서 설치를 진행했다. 비밀번호 칠 때 원래 안보이는거니까 당황x..
yum이용해 설치
# sudo yum install httpd
Apache 시작
# sudo systemctl start httpd // apache 시작
# sudo systemctl status httpd // apache 활성화 상태 확인
// apache 부팅 시 자동실행 등록
# systemctl enable httpd
// 자동실행 해제
# systemctl disable httpd
방화벽 설정
// firewall-cmd 설치
# yum install firewalld
// 포트 열기
# sudo firewall-cmd --zone=public --permanent --add-port=80/tcp // 80포트 개방
# sudo firewall-cmd --reload // 방화벽 리로드
# sudo firewall-cmd --zone=public --list-all // 열려있는 포트 확인
apache 기본 정보
- 기본 포트번호 : 80
- DocumentRoot 경로 : /var/www/html (localhost 접속했을 경우 documentroot 안의 index.html 을 실행)
- 웹서버 실행 확인 : 인터넷에서 [자신의 ip] or [localhost] or 0.0.0.0 등을 입력하면 apache test page로 연결이 된다
Hello World!! 띄어보기
# cd /etc/var/www
기본 루트로 이동해서 파일을 생성해 줍니다.
# sudo vi ./index.html
// index.html 내용
<html>
Hello World!!!
</html>
linux 파일 편집기 명령어는 따로 정리..
처음 파일에 들어가서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'i' 를 누르고, 편집이 끝나면 'esc'키를 누른 후에, ':wq' 명령어를 입력해 저장 및 나가기를 진행합니다.
아파치 재시작!
# sudo service apache restart
다시 웹에 접속해보면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CentOS JDK설치 및 자바 컴파일 하는 법 (실행) (0) | 2023.03.08 |
---|---|
[Linux] CentOS 7 부팅USB로 설치하기 (0) | 2023.03.07 |
[Mac] CentOS 7 설치 USB 만들기 (0) | 2023.03.06 |